[한글패치] 트와일라잇 신드롬 탐색편 (トワイライトシンドローム 探索編.1996) 2022년 공포 게임




1996년에 ‘HUMAN’에서 플레이 스테이션 1용으로 만든 호러 어드벤처 게임.

내용은 일본 도쿄도 ‘무사시노 시’의 변두리에 있는 작은 마을 ‘히나시로’는 유독 귀신에 대한 불온한 소문이 많이 떠도는데 ‘히나시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고생 ‘하세가와 유카리’, ‘이츠시마 치사토’, ‘키시이 미카’ 등 3명의 일행이 그 소문을 따라서 심령 현상이 발생하는 심령 스팟을 탐험하면서 소문의 진상을 파헤치는 이야기다.

본작은 기본적으로 도시전설에 나오는 심령 스팟을 돌아다니면서 초자연적인 현상을 경험하고, 거기에 관련된 수수께끼를 풀어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방식의 어드벤처 게임이다.

횡 스크롤 시점으로 진행되며, 유카리, 치사토, 미카 등의 일행이 한 조가 되어 대부분의 경우 셋이 동시에 움직인다. (특정한 캐릭터 혼자 따로 움직이는 구간도 있다)

횡 스크롤 시점이긴 하나 좌, 우로만 움직일 수 있는 게 아니라 위, 아래로도 움직일 수 있다. 자사의 대표 호러 게임인 ‘클락 타워(1995)’ 스타일을 따르고 있는데 그때는 커서를 사용해 이동하고 행동했지만, 본작에서는 조이패드로 방향 조작만 하면 된다. 행동/조사는 오브젝트에 접촉하면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더 편해졌다.

달리기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서 이동 속도가 좀 느린 편이지만, 그 대신 맵이 배경에 따라 구간이 여러 개로 나뉘는 곳이 있긴 해도 구간별 평균 크기가 작고, 자동 진행 구간이 많아서 이동 속도가 느린 게 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특정 포인트에 도달할 때쯤에 자동 진행으로 넘어가서 사실 이동과 행동의 비중이 그렇게 크지는 않다. 게임에 몰입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 같은 느낌이다.

본작에서 중요한 건 선택지다. 시나리오 분기형으로 되어 있어 게임 플레이 중에 고른 선택지에 따라서 결말이 바뀐다.

그에 따라서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는 ‘대길’. 사건의 진상은 밝혀지지 않지만 어찌 됐든 이야기가 끝나는 ‘중길’,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지도 않고 이야기 자체도 비참하게 끝나는 ‘흉’의 3가지 결말이 있고. 이중에 대길, 중길은 시나리오 클리어로 간주되어 다음 시나리오로 넘어갈 수 있지만 흉은 배드 엔딩이라서 넘어갈 수 없다.

‘플라이트 레벨’이라고 해서 화면 상단에 심전도 윈도우창이 뜨는데, 이게 게임 플레이 도중에 주인공 일행이 공포스러운 경험을 할 때마다 심장 소리가 울리며 공포가 축적되어 색깔이 점점 바뀌는데. 윈도우창 색깔이 빨간색으로 변한 뒤 임계점을 돌파하면 기절하거나 사망해서 게임 오버가 되어 버린다. 배드 엔딩인 ‘흉’조차 보지 못한 채 끝나 버리는 거다.

시나리오를 클리어하면 자동 세이브되는 방식이고. 게임 플레이 도중에는 세이브/로드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서 게임오버에 주의해야 한다.

다행스러운 건 그런 시스템이 있어도 사실 게임오버 확률 자체는 낮은 편이란 거다. 일부러 한 번 죽어보려고 사망 플레그 같은 선택만 반복하지 않으면 무사히 클리어할 수 있다. 게임 플레이하는 내내 사방팔방에 게임 오버 포인트가 있고 잊을 만 하면 전용 BGM과 함께 나타나 쫓아오는 시저맨을 피해 달아나는 클락 타워에 비하면 엄청 쉽다. 거의 밥을 떠먹여주는 수준이다.

게임 플레이 도중에 미카에게 사진 촬영, 녹음기 사용을 부탁하는 선택지가 뜨는데. 이때 찍은 사진과 녹음은 게임 엔딩을 본 다음, 다시 시작했을 때 ‘전리품’ 모드에서 재확인할 수 있다.

본편 시나리오는 총 6개로 이중에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제외한 본편은 4가지다. 각각의 시나리오가 기승전결이 뚜렷하고 작중에 던진 떡밥을 확실히 회수하고 있어서 꼼꼼하게 잘 만들었다.

시나리오 대부분이 귀신에 얽힌 이야기인데 이게 사실 게임 화면만 봐서는 별로 무섭지 않은데. 볼륨을 잔뜩 키워서 소리를 들으면서 보면 엄청 무섭다.

소리를 끄고 게임을 하면 공포도가 절반으로 뚝 떨어질 만큼 소리의 중요도가 높다.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불온한 느낌의 배경 음악에 빗소리와 사람들 말소리 등등 효과음도 시기적절하게 들어가 있으며, 부분 음성을 지원하는데 이 음성이 무서운 장면에서 훅-들어와 공포의 화룡점정을 찍는다.

각 시나리오에서 드러나는 사건의 진상은 꽤 감성적인 내용이 많아서 스토리를 드라마틱하게 만든다.

과연 클락 타워의 제작사답다고나 할까. 진짜 공포 게임의 가닥이 제대로 잡혀 있다.

일부 이벤트 씬에서 2D 애니메이션이 짧게 나오는 것과 오프닝 때 한 밤 중의 학교 안을 질주하는 3D 동영상도 나름대로 호러블해서 위화감 없이 다가온다.

주인공 3인방의 묘사도 엄청 디테일하다.

냉정한 현실주의자 같아도 감수성이 풍부하고 정이 깊은데 강한 척 해도 실은 겁이 많은 하세가와 유카리, 영감이 뛰어나고 유순하지만 중요한 상황에서는 절대 물러서지 않는 이츠시마 치사토. 최신 유행을 추구하며 소문을 듣고 퍼트리는 걸 좋아하는 트러블 메이커지만 넉살 좋고 쾌활한 성격의 키시이 미카.

각 캐릭터의 성격, 컨셉, 스타일이 확고해서 겹치는 일이 없고. 각자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 건 물론이고 게임 본편 플레이 내에 캐릭터 간의 관계를 집중 조명하면서 캐릭터 사이의 케미컬 효과를 부각시켜 캐릭터 묘사의 밀도가 높다.

미카가 어디서 소문을 듣고와 탐험을 제의하고, 유카리가 마지 못해 따라가면서 리도 포지션에서 탐험을 주도하며, 치사토가 팀의 영능력자 포지션으로 침착하게 일행의 뒤를 받쳐주며 보좌하는 팀플레이가 돋보인다.

그 때문에 호러물이기 이전에 쥬브나일 어드벤처로서의 밀도도 대단히 높다. 한국식으로 축약하면 ‘여고괴담 어드벤처’라고 할 수 있는데. 여고생 시점의 이야기로서 단순히 공포만을 선사하는 게 아니라 감성도 품고 있어서 여성 유저 쪽이 더 현실감을 느끼면서 재미있게 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국내 게임 잡지 ‘게임 라인’에서 본작을 소개할 때 일본 여고생의 은어/유행어가 많이 나와서 해석이 힘들었다는 말이 언급된 기억이 난다.

본작은 또 한 가지 특징이, 본작 하나로 게임의 내용이 완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본작의 엔딩 때 다음편에서 계속 이어진다는 문구가 뜨고. 엔딩 스텝롤이 올라간 다음, 아예 하편의 트레일러가 나온다.

근데 이게 이야기를 하다가 중간에 뚝 끊는 게 아니라. 본편에서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충분히 다 한 다음에 다음 편을 예고하는 것이라서 상하편 구성이라고 해도, 한 편의 독립적인 게임으로서 손색이 없다.

한글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뽀남이’ 유저가 프로젝트 총괄. ‘전화원’. ‘갓오팜’ 유저가 번역에 참여하고 ‘한마루’에서 번역 및 이미지 수정을 했는데. 텍스트는 물론이고 음성 자막에, 시나리오 및 차회 예고 때 나오는 일본어 아래 한글 자막과 엔딩 스텝롤까지 꼼꼼하게 다 한글화했으며 게임 전체적으로 오탈자와 버그 하나 없어서 100% 번역율을 자랑한다.

결론은 추천작. 자동 진행 구간이 많아 간편한 조작, 꼼꼼하게 잘 만든 시나리오, 디테일한 캐릭터, 시나리오 분기형으로 회차 플레이 요소도 있고, 소리와 연출이 좋아서 호러 게임에 충실한 공포를 안겨주는 한편. 감성적인 내용이 곁들어져 있어 스토리가 한층 드라마틱해서 게임의 몰입도가 높아 무섭고 재미있게 잘 만든 게임이다.

여담이지만 본작은 시리즈화되어 2008년까지 4개의 작품이 나왔다. ‘트와일라잇 신드롬 탐색편(1996)’, ‘트와일라잇 신드롬 구명편(1996)’, ‘트와일라잇 신드롬 재회편(2000)’, ‘트와일라잇 신드롬 금지된 도시전설편(2008)’으로 탐험, 구명, 재회편까지는 휴먼에서 PS1용으로 발매했고 재회, 금지된 도시전설편은 스파이크에서 NDS용으로 발매했다.

그리고 탐색편과 구명편이 상하편 구성이다 보니 1998년에 두 편을 합친 염가 패키지로 ‘트와일라잇 신드롬 스페셜’이 발매했다.

덧붙여 ‘스파이크 춘소프트’의 2012년작 ‘슈퍼 단간론파 2 –안녕히 절망학원-’ 속에 등장하는 호러 게임인 ‘트와일라잇 신드롬 살인사건’은 본작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본작의 제작사인 HUMAN이 1999년에 도산해 스파이크로 인수되어서 트와일라잇 재회편부터 스파이크에서 나온 거다)


덧글

  • 로그온티어 2019/02/01 15:19 #

    한글패치 게임은 다 봤다고 생각했는데 이게 또 있군요. 오오
  • 잠뿌리 2019/02/02 09:20 #

    최근 한글패치된 게임입니다 ㅎㅎ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28215
1515
10347091

메모장

잠뿌리의 트위터

2019 대표이글루_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