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력대나팔 (霹靂大喇叭.1986) 하이틴/코미디 영화




1986년에 홍콩에서 유관위, 진혼건 감독이 만든 코미디 영화. 홍금보, 장학우, 왕조현, 강대위가 주연을 맡았다.

내용은 경찰 연주악단에 소속되어 튜바를 불던 ‘대나팔’이 절친 ‘챙’과 함께 쵸우 경사가 조사하던 사건에 엮였다가, ‘쵸우’ 경사가 악당들에게 살해당한 뒤. 귀신이 되어 대나팔 앞에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본작의 줄거리만 보면 귀신인 쵸우 경사가 대나팔을 도와주어 악당들을 소탕하는 내용인 것 같지만, 실제로 본편 스토리에서 그게 차지하는 비중은 생각보다 적은 편이다.

본편 스토리는 사실 소심하고 기가 약한 대나팔이 본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운 좋게 사건을 하나 둘씩 해결하고, 마트 매니저인 조앤과 썸을 타면서 그 과정에서 웃음을 주는 코미디물이다.

근데 그렇게 일이 잘 풀리는가 싶더니 쵸우 경사의 귀신이 대나팔 앞에 나타나, 자신이 생전에 쫓던 악당들을 잡아 달라고 집요하게 달라붙어서 조앤과의 썸을 방해하여 대나팔로 하여금 울며겨자먹기로 일을 시키는 것이라서 이게 당시 기준으로는 개그 포인트겠지만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완전 트롤링이라 좀 답답한 구석이 있다.

애초에 대나팔은 앞서 말했듯 소심하고 기가 약한 캐릭터라서 싸움을 할 때도 공격은 거의 못하고 주로 방어/회피만 해서 굉장히 수비적인 캐릭터라서, 해당 배역을 맡은 배우인 홍금보가 기존의 영화에서 보여준 액션의 반의 반도 선보이지 못한다.

쵸우 경사가 대나팔을 직접 도와주는 씬은 하이라이트 때 딱 한 번 나오는데. 그게 염력으로 대나팔을 들어올려 슈퍼맨 드립시키면서 날려 보내는 거라서 개그 성격이 강하고 액션은 미묘하다. (개그의 관점에서 보면 나쁘지 않았다)

본작의 액션을 책임지는 건 대나팔의 친구 챙 배역을 맡은 ‘장학우’인데, 작중에 챙은 대나팔과 정반대로 적극적이고 행동력과 의지가 넘쳐흐르며, 실제로 화려한 발차기와 이동 잡기를 쓰면서 악당들을 때려잡는데.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혼자 해낸다.

개그는 몸개그 위주의 슬랩스틱 코미디와 섹드립으로 구성된 화장실 유머가 나오는데, 홍금보의 리액션이 재미있어서 개그 자체는 무난하다.

여자 속옷으로 귀신을 제압하려는 거나, CCTV로 퀴즈를 낼 때 여자 알몸으로 사자 얼굴 그리는 개그가 인상적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본작이 국내에 비디오로 출시됐을 때 그걸 본 애들이 따라하는 게 잠시 유행이 됐었다.

대나팔은 개그. 챙은 액션을 담당하고 있고, 두 사람이 절친 사이라는 설정이라 조앤과 함께 셋이 몰려다니며 사이좋게 지내는 전개가 쭉 이어져서 캐릭터 궁합은 좋은 편이다.

다만, 전반적인 캐릭터 운용은 좋지 않다.

태보, 원화, 임정영, 호풍, 풍쉬범, 엽영조, 황정리 등등 80년대 홍콩 영화의 단골 배우들이 총 출동하지만 대부분의 캐릭터가 단역에 그쳐서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간다.

그나마 황정리 정도가 중간보스급 악당으로 대나팔과 마지막 결투를 벌이기 때문에 눈에 띈다. 캐릭터 자체는 악당 보스의 오른팔 정도라 이름도 나오지 않지만, 강력한 발차기를 날리며 대나팔을 몰아붙이는데. 성룡의 ‘취권(1978)’에서 살인 청부업자 ‘번개다리’로 나왔을 때처럼 강한 인상을 준다.

쵸우 경사는 작중 죽은 자와의 약속. 즉, 죽기 직전 대나팔의 손을 잡고 약속을 했기 때문에 귀신이 된 이후 그의 눈에 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설정이 있어서 챙, 조앤 등에게는 일절 보이지 않아 좀 겉도는 느낌을 준다.

등장 자체도 초반에 악당에게 살해당해 잠시 리타이어했다가 귀신이 되어 재등장한 뒤로. 대나팔의 일상이 이어지면서 코빼기도 보이지 않다가, 후반부로 넘어가는 구간에서 불쑥 나타나 대나팔에게 달라붙어서 비중이 주연급인데도 불구하고 출현 분량이 너무 적다.

쵸우 경사의 도움이나, 대나팔 일행과의 우정을 부각시키거나, 하다못해 쵸우 경사가 대나팔 몸에 빙의해서 경사로서 생전의 실력을 뽐냈다면 또 모를까. 본편 스토리에서는 단순히 악당 퇴치 퀘스트를 반강제로 요구하는 NPC에서 벗어나지 못해서 그 부분을 완전 드러내도 본편 스토리를 진행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라 소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작중 쵸우 경사의 행적 중 유일하게 인상적인 건, 생전에 활약을 그린 도입부 때. 범죄자가 차를 몰고 돌진해 오자 제자리에서 점프해 드롭킥으로 자동차 정면 유리를 박살낸 채로 자동차에 걸린 채 강물에 빠지는 씬이다.

그냥 단순히 홍금보의 히트작인 ‘귀타귀’를 의식하고 귀신 소재를 어거지로 쑤셔 넣은 것 같다.

결론은 평작. 홍금보의 개그와 장학우의 액션은 적당히 볼만하나, 홍금보 캐릭터 설정의 문제로 기존의 홍금보 영화에서 나온 액션이 본작에서는 나오지 않아 뭔가 2% 부족한 느낌을 주고, 배우 캐스팅 진영은 화려한 편인데 대부분 조연/단역에 그쳐서 캐릭터 운용이 좋지 않으며, 귀신 형사가 핵심적인 태그 중 하나지만. 중요도에 비해 출현 분량이 적고 다른 캐릭터와 케미를 이루지 못한 채 혼자 겉돌고 있어서 메인 설정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스토리의 완성도는 조금 낮은 작품이다.

여담이지만 본작은 ‘장학우’의 영화 데뷔작이다.

덧붙여 본작의 제목은 벽력대나팔, 주인공 이름은 대나팔, 경찰 연주악단 소속의 튜바 연주자인 설정이라서 뭔가 나팔이 중요한 상징이나 아이템처럼 나올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아무 것도 없고. 작중 대나팔이 연주악단에서 쫓겨난 이후로는 배경 소품으로조차 안 나온다.


덧글

  • 2018/07/10 23:29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8/07/14 23:19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먹통XKim 2018/07/11 12:32 #

    어릴적 재개봉관에서 본 추억이 있죠
  • 잠뿌리 2018/07/14 23:20 #

    저는 어린 시절에 비디오로 봤던 기억이 납니다.
  • ナチとリブレ 2018/07/11 13:00 #

    벌써 30년전의 영화로군요...아아아아아 세월이 무상합니다.
    저는 당시 중학생이었으니 이런 저런 생각 안하고 재미있게 봤었던 것 같습니다.
  • 잠뿌리 2018/07/14 23:20 #

    30년 전 홍금보는 둘째치고, 왕조현, 장학우의 풋풋한 모습을 볼 수 있었던 작품이죠.
  • 무지개빛 미카 2018/07/14 11:28 #

    이미 포스터부터 홍금보씨의 전투력이 많이 급감될만한 것이 저런 거대한 나팔을 들고 어떻게 홍금보식 싸움을 한답니까? 차라리 저걸로 범인들 앞에서 불어 재끼면 범인들 아지트가 한방에 박살나고 범인들의 차량이 한방에 날아가 버리겠습니다. ㅅ.ㅅ
  • 잠뿌리 2018/07/14 23:20 #

    제목, 인물 이름에 다 나팔이 들어가는데 정작 나팔이 중요한 소품으로 나오지 않은 게 옥의 티였죠.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71134
959
10348074

메모장

잠뿌리의 트위터

2019 대표이글루_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