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년에 이해준 감독이 만든 작품. 정재영, 정려원이 주연을 맡았다.
내용은 여자 친구와 헤어지고 제 2 금융권에 빌리 돈도 갚지 못해 이자가 불어난 것도 모자라 직장에서까지 짤려서 인생의 막다른 곳에 몰린 한 남자 김씨가 한강에 뛰어들었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한강의 밤섬에 표류하게 됐고 야생의 삶을 살아가다가 대인 기피증에 히키코모리인 여자 김씨가 민방위 사이렌이 울릴 때 망원 카메라로 바깥을 촬영하다 그 광경을 목격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이 작품은 남녀 주인공 이름이 끝까지 나오지 않고 그냥 남자 김씨. 여자 김씨. 이렇게 표기되어 있다.
흔히 무인도 생활기의 대표적인 작품은 로빈슨 크루소고 영화로는 캐스트 어웨이 같은 게 있는데, 한국에서 이런 스타일의 작품을 현대적으로 각색한 걸 본 건 처음이다.
바다 한가운데 떠 있는 무인도가 아니라 한강에 있는 밤섬이라서 배경이 오히려 더 흥미롭게 다가온다.
진짜 도심 건물이 바로 보이는데 강을 헤엄쳐서 건널 수 없는 고립된 상황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라서 더 그런 것 같다.
문득 몸개그로 점철된 만화인 괴짜 가족이 생각난다. 거기 나오는 이소룡 선생도 진짜 고속도로 한복판이나 놀이 동산에 표류되서 사는 에피소드가 몇 개 나온다.
작품의 관전 포인트는 김씨의 무인도 생활과 히키코모리인 여자 김씨가 남자 김씨를 촬영하며 펜팔을 주고 받는 것이다. 둘 다 외로움의 끝에 서 있는 현대인인데 조금씩 성장해 나간다.
특히 재미있는 건 김씨의 무인도 생활이다.
쓸데없는 장면은 하나도 없고 모든 행동과 상황, 대사가 다 의미가 있다는 것이 참 마음에 든다.
김씨의 무인도 생활 중에 짜파게티 봉지를 발견하고 자신이 직접 재료를 가꾸어 짜파게티를 만들어 먹는 것은 이 작품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희망과 귀결된다.
짜파게티의 희망 소비자 가격에서 소비자 가격을 손가락으로 가리고 희망이란 단어를 어필한 걸 보면 참 재치가 넘치는 것 같다.
남자 김씨가 무인도 생활을 하면서 삶에 의욕을 얻기 시작한 게 다 짜파게티를 만들어 먹기 위함이란 걸 생각해 보면 이 작품에서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희망이다.
현실적인 걸 엄격하게 따지자면 서울에 무인도 같은 게 있을리 없고 또 비둘기 똥에서 씨앗을 얻어 작물을 재배하는 것도 불가능하겠지만, 영화적 상상력이란 걸 감안하면 충분히 납득하고 넘어갈 수 있다.
리얼리티에 대한 옥의 티가 있다면 김씨가 세재로 머리를 감다가 물고기가 죽어서 떠오른 걸 구워먹고, 그걸 또 새들이 먹고 죽어서 새고기를 먹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렇게 사냥 아닌 사냥을 해서 먹는 건 둘째치고 물고기나 새를 죽게 한 세재까지 그대로 섭취한 김씨는 어째서 그렇게 멀쩡한 건지 의문이다.
결론은 추천작! 단순한 코미디 영화라기보다는 영화 속에 담긴 메시지가 알기 쉽고 가슴에 와 닿아서 훈훈한 작품인 듯 싶다.
하지만 포스터나 예고만 보고 이게 단순히 웃기기만 한 영화고 또 그런 걸 바란 사람은 약간 실망할지도 모른다.
내용은 여자 친구와 헤어지고 제 2 금융권에 빌리 돈도 갚지 못해 이자가 불어난 것도 모자라 직장에서까지 짤려서 인생의 막다른 곳에 몰린 한 남자 김씨가 한강에 뛰어들었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한강의 밤섬에 표류하게 됐고 야생의 삶을 살아가다가 대인 기피증에 히키코모리인 여자 김씨가 민방위 사이렌이 울릴 때 망원 카메라로 바깥을 촬영하다 그 광경을 목격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이 작품은 남녀 주인공 이름이 끝까지 나오지 않고 그냥 남자 김씨. 여자 김씨. 이렇게 표기되어 있다.
흔히 무인도 생활기의 대표적인 작품은 로빈슨 크루소고 영화로는 캐스트 어웨이 같은 게 있는데, 한국에서 이런 스타일의 작품을 현대적으로 각색한 걸 본 건 처음이다.
바다 한가운데 떠 있는 무인도가 아니라 한강에 있는 밤섬이라서 배경이 오히려 더 흥미롭게 다가온다.
진짜 도심 건물이 바로 보이는데 강을 헤엄쳐서 건널 수 없는 고립된 상황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라서 더 그런 것 같다.
문득 몸개그로 점철된 만화인 괴짜 가족이 생각난다. 거기 나오는 이소룡 선생도 진짜 고속도로 한복판이나 놀이 동산에 표류되서 사는 에피소드가 몇 개 나온다.
작품의 관전 포인트는 김씨의 무인도 생활과 히키코모리인 여자 김씨가 남자 김씨를 촬영하며 펜팔을 주고 받는 것이다. 둘 다 외로움의 끝에 서 있는 현대인인데 조금씩 성장해 나간다.
특히 재미있는 건 김씨의 무인도 생활이다.
쓸데없는 장면은 하나도 없고 모든 행동과 상황, 대사가 다 의미가 있다는 것이 참 마음에 든다.
김씨의 무인도 생활 중에 짜파게티 봉지를 발견하고 자신이 직접 재료를 가꾸어 짜파게티를 만들어 먹는 것은 이 작품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희망과 귀결된다.
짜파게티의 희망 소비자 가격에서 소비자 가격을 손가락으로 가리고 희망이란 단어를 어필한 걸 보면 참 재치가 넘치는 것 같다.
남자 김씨가 무인도 생활을 하면서 삶에 의욕을 얻기 시작한 게 다 짜파게티를 만들어 먹기 위함이란 걸 생각해 보면 이 작품에서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희망이다.
현실적인 걸 엄격하게 따지자면 서울에 무인도 같은 게 있을리 없고 또 비둘기 똥에서 씨앗을 얻어 작물을 재배하는 것도 불가능하겠지만, 영화적 상상력이란 걸 감안하면 충분히 납득하고 넘어갈 수 있다.
리얼리티에 대한 옥의 티가 있다면 김씨가 세재로 머리를 감다가 물고기가 죽어서 떠오른 걸 구워먹고, 그걸 또 새들이 먹고 죽어서 새고기를 먹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렇게 사냥 아닌 사냥을 해서 먹는 건 둘째치고 물고기나 새를 죽게 한 세재까지 그대로 섭취한 김씨는 어째서 그렇게 멀쩡한 건지 의문이다.
결론은 추천작! 단순한 코미디 영화라기보다는 영화 속에 담긴 메시지가 알기 쉽고 가슴에 와 닿아서 훈훈한 작품인 듯 싶다.
하지만 포스터나 예고만 보고 이게 단순히 웃기기만 한 영화고 또 그런 걸 바란 사람은 약간 실망할지도 모른다.
덧글
음악도 괜찮았는데 OST에 김씨가 참여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남자 김씨는 초반에 명함 같은걸로, 여자 김씨는 마지막에 버스에서 마이 네임이즈 어쩌구해서 본명을 밝히긴 합니다.
쥐꿈 꾸다니 이거 망했다..사람들이 비아냥거렸는데 정말로 흥행은 처절하게 표류당했죠
Treena/ 영화적 상상력으로 생각하면 편해지지요.
헬몬트/ 흥행 성적은 진짜 아쉬운 작품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