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6년에 카시오에서 만든 게임.
사악한 쥐 새끼 도굴꾼을 조작해 모아이 유적을 잔뜩 훼손시키며 보물을 찾아서 도망치는 천인공노할 게임.. 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순화시켜서 말하자면 그냥 귀여운 쥐를 조작해 망치로 벽을 후려쳐 출구를 향해 나아가는 게임이다.
기본 조작 버튼은 망치질과 점프. 망치질은 주로 돌 따위를 부술 수 있는데. 이 게임의 키 포인트는 바로 그 돌을 부숴서 길을 만드는 것이다.
테트리스의 그것을 연상시키는 조각 돌들이 층층히 쌓여 있는데 일단 점프해서 부술 순 없고. 밑에서 바로 앞에 있는 돌을 부수면 위에 쌓여 있던 게 아래로 내려오는데 그것을 따라 점프해서 끝까지 올라가야 한다.
종래의 카시오 게임과 같이 약 3개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거의 무한으로 반복되지만 기본적으로 퍼즐 액션 게임에 가깝기 때문에 매 스테이지마다 구조가 달라서 나름대로 끝까지 할 만하다.
보통 진행 같은 경우 우측 하단에 항상 떠 있는 거대한 모아이 석상의 최하단부터 시작하지만 보너스 스테이지로 돌입하면 모아이 석상 꼭대기에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있다.
매 스테이지마다 보석 따위가 있거나 혹은 숨겨져 있지만 그걸 얻는 건 점수가 올라갈 뿐. 클리어 자체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어차피 출구를 찾아 나가면 그걸로 바로 스테이지가 클리어 되고 제한 시간의 여유 분에 따라 추가 점수를 받게 되어 있다.
망치로 부술 수 있는 돌은 지상에서 맞 닿아있는 것 뿐이고. 돌을 한번 부수면 약간의 딜레이가 생기는데 이때 돌에 깔리면 죽거니와 딜레이가 생긴 동안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면 갈수록 생각을 요구하는 플레이로 바뀐다.
한번 실수를 해서 돌이킬 수 없다면 제한 시간이 다 갈 때까지 죽치고 있거나. 마구 돌을 부셔서 자폭 겸 돌에 깔려 죽는 수밖에 없다.
제한 시간이 그렇게 여유가 있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난이도 자체가 극악스러울 정도로 어려운 건 아니다. 왕가의 계곡 시리즈보다는 더 쉬운 것 같다.
결론은 추천작. 카시오 게임 중에 이 정도로 머리를 써야 하는 게임은 드문 편이다.
사악한 쥐 새끼 도굴꾼을 조작해 모아이 유적을 잔뜩 훼손시키며 보물을 찾아서 도망치는 천인공노할 게임.. 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순화시켜서 말하자면 그냥 귀여운 쥐를 조작해 망치로 벽을 후려쳐 출구를 향해 나아가는 게임이다.
기본 조작 버튼은 망치질과 점프. 망치질은 주로 돌 따위를 부술 수 있는데. 이 게임의 키 포인트는 바로 그 돌을 부숴서 길을 만드는 것이다.
테트리스의 그것을 연상시키는 조각 돌들이 층층히 쌓여 있는데 일단 점프해서 부술 순 없고. 밑에서 바로 앞에 있는 돌을 부수면 위에 쌓여 있던 게 아래로 내려오는데 그것을 따라 점프해서 끝까지 올라가야 한다.
종래의 카시오 게임과 같이 약 3개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거의 무한으로 반복되지만 기본적으로 퍼즐 액션 게임에 가깝기 때문에 매 스테이지마다 구조가 달라서 나름대로 끝까지 할 만하다.
보통 진행 같은 경우 우측 하단에 항상 떠 있는 거대한 모아이 석상의 최하단부터 시작하지만 보너스 스테이지로 돌입하면 모아이 석상 꼭대기에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있다.
매 스테이지마다 보석 따위가 있거나 혹은 숨겨져 있지만 그걸 얻는 건 점수가 올라갈 뿐. 클리어 자체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어차피 출구를 찾아 나가면 그걸로 바로 스테이지가 클리어 되고 제한 시간의 여유 분에 따라 추가 점수를 받게 되어 있다.
망치로 부술 수 있는 돌은 지상에서 맞 닿아있는 것 뿐이고. 돌을 한번 부수면 약간의 딜레이가 생기는데 이때 돌에 깔리면 죽거니와 딜레이가 생긴 동안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면 갈수록 생각을 요구하는 플레이로 바뀐다.
한번 실수를 해서 돌이킬 수 없다면 제한 시간이 다 갈 때까지 죽치고 있거나. 마구 돌을 부셔서 자폭 겸 돌에 깔려 죽는 수밖에 없다.
제한 시간이 그렇게 여유가 있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난이도 자체가 극악스러울 정도로 어려운 건 아니다. 왕가의 계곡 시리즈보다는 더 쉬운 것 같다.
결론은 추천작. 카시오 게임 중에 이 정도로 머리를 써야 하는 게임은 드문 편이다.
덧글
시무언/ 시대를 앞서간 쥐였죠.